|
|
‘세계적인 미디어 아티스트’, ‘시대를 앞서간 천재’,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 우리는 (故)백남준을 이렇게 불러왔다. 비디오를 예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미디어 아트의 선구자 역할을 해온 백남준. 시공간을 초월한 예술적 매개로 현실과 가상 사이를 넘나들었던 그는 분명 새로운 시대, 새로운 예술인 미디어 아트의 상징적 존재였다. 그런 그가 세상을 떠난 지도 6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리고 올 2012년은 백남준 탄생 80주년을 기념하는 해로 최근 그가 남긴 위대한 족적을 기념하려는 움직임이 여기저기서 펼쳐지고 있다. 이에 디자인정글에서도 백남준을 다시 한번 조명해보고자 한다. 백남준을 돌아보는 기념전시에서부터 그가 없는 국내 미디어 아트를 이끌어 갈 젊은 작가까지, 백남준과 미디어 아트를 한번 이야기해본다.
기획 및 진행 | 매거진정글 편집부
디자인 | 임보경 |
|
|
|
정은영은 비디오 매체를 이용한 영상작업을 선보이는 아티스트이다. 故 백남준의 비디오 작업이 시간에 대한 근원적인 탐구를 보여주는 것이 많았다면, 정은영 역시 시간성과 서사성을 표현하기 위해 비디오 작업을 시작했다. 하지만 현재는 비디오의 상호매체적 성향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등 매체가 갖고 있는 다양한 특성을 탐구하고 있다. 그녀는 최근 전통 판소리 사설이나 대중 소설 등을 각색한 내용을 오로지 여성 배우들만이 모든 배역을 소화하는 여성국극을 비디오로 담으면서, 배우들의 ‘남자되기’에 대해 이야기한다. 미디어에 대한 정의가 숱하게 이뤄지고 의미 또한 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그녀에게는 가장 현실적이면서, 또 ‘진보적인 어떤 입장’이라고 말한다. |
|
Jungle : 미디어 아트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내용에 충실하면서, 현재의 목소리를 담는 작업을 하고 싶었다, 그때 비디오는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재료이자 도구였고, 내용이었다. 처음 비디오 작업을 했던 것도 디지털카메라의 비디오 촬영모드였다.
Jungle : 미디어 아트에서는 새로운 기술이 하나의 장르로 인정받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
잘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어떤 지면을 통해 “미디어 아트가 예술 내로 진입하는 것에 실패한 것이 아니라, 예술이 미디어 아트를 예술 안에서 수용하는데 실패했다.”라는 이원곤 교수님의 글을 읽은 적이 있다. 종종 미디어 아티스트라고 스스로를 정체화 하는 작가들이 예술이 미디어의 신기술을 너무 폄하한다며 투덜거리던 것에 비하면, 주류를 향한 피해의식이 제거된 대단히 신선한 관점이라 생각한다. 나는 미디어 아트의 이슈들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나눌 기회가 충분치 않았음도 불구하고, 미디어 아트가 예술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꾸준히 관심이 있다. 예술이 그것을 계속 실패하고 있다면 그 실패를 양산하는 구조에도 관심이 있다. 한편 개인적인 ‘취향’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뉴 미디어를 '자연'을 재현하는 도구로 환원하는 작업에는 전혀 흥미가 없다.
Jungle : 특별히 도전해보고 싶은 매체가 있다면?
아주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사운드’와 ‘퍼포먼스’에 대한 고려가 지속되어야 할 것 같다. 사실 이 두 가지의 ‘다른’ 방식의 예술은 이미 ‘비디오’내에 통합되어 있지만 독립적이고, 실험적이면서 현재적인(live) 것으로서의 두 가능성을 꾸준히 공부해 보고 싶다.
Jungle : 작품을 통해 궁극적으로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모든 체제와 권력의 구조가 어떻게 보이지 않는 영역을 만들어 냈는지, 그리고 그것을 끊임없이 보여주지 않고 배제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규범을 만들어 내는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성별의 정치’와 ‘타자와의 연대’가 내 작업의 주요어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Jungle : 대표적인 작업을 말해달라. |
|
여성국극은 1940년대 말에 시작되어 195, 60년대에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다가 쇠퇴한 창무극의 한 종류로, 노래(창)와 춤(무)이 어우러진 일종의 오페라나 뮤지컬과 흡사한 형식에 주로 전통 판소리 사설이나 상고시대의 야화, 혹은 유명 대중 소설 등의 스토리를 각색한 내용을 입혀 공연하는 무대예술이다. 여성국극은 전통적 성별 역할을 극대화해 수행하는 배역들과 그 배역들 간의 사랑과 갈등을 스토리로 전유하지만, 모든 배역을 오로지 여성배우가 연기하는 매우 독자적이고 전복적인 특징을 가진다. |
나는 특히 여성국극 남자 역할 배우들의 무대 연습과 젠더 표현들을 쫓으며, 두 개의 성별로 구성되어 경합하는 전통적인 성별체계와 담론들에 도전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이와 관련한 초기작품에서는 주로 배우들의 실제 공연 연습의 주변에 머물며, 소위 위반적 젠더의 표상들을 ‘발견’하고 붙잡는 것을 시도해 왔다. 이후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배우를 연출된 무대와 카메라 안에 담았다. 최근의 작업은 배우들의 무대 밖(offstage)의 삶을 추척하고 있다. 배우들은 언제나 노래와 춤을 포함해 자신의 연기를 설명하고, 무대와 공연을 만들기 위한 세심한 가르침을 역설하거나, 주어진 성별을 위반하는 반복적인 훈련과 수행을 통해 젠더가 교차 되는 것을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여성국극의 장르적 특이성은 이러한 배우들의 수행을 통해 ‘공연’이 만들어졌으며, 이것은 젠더라는 체계 역시 수행을 통해 구성되며, 복제 가능한 것임은 물론, 그렇기 때문에 결코 본질적일 수 없음을 드러낸다. |
|
Jungle : 故 백남준은 어떤 의미인가?
아마도 많은 작가들이 자신의 작업세계에 대해 이해를 구하기 어려울때, “백남준 같은 것.” 이라는 설명이 큰 도움이 된 적이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작가 린 허쉬만의 6, 70년대 미국 여성주의 미술운동에 관한 훌륭한 다큐멘터리 ‘여성, 예술, 혁명: 감춰진 이야기’에 “유산은 미래에 선사하는 선물”이라는 나레이션이 있다. 백남준은 아마도 우리에게 유산을 선물해 준 것 같다. 정말 고마운 분이다. |
http://magazine.jungle.co.kr/cat_magazine_special/special_temp5_2.asp?menu_idx=301&idx_caller=2365&idx=2565&idx_special=177&ref=659&page=1&main_idx=177&main_menu_idx=1&sub_menu_idx=21&all_flag=1
No comments:
Post a Comment